⛅ 국립기상과학원은 <2023 지구대기감시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바로보기] 2023 지구대기감시 보고서.pdf [다운로드] 2023 지구대기감시 보고서.pdf |
⛅ <2023 지구대기감시 보고서>는 기상청 기후변화감시소*에서 관측한 지구대기감시요소 관측 자료와 분석 결과가 담겨 있으며, 우리나라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 기후변화감시소: 4개 기본감시소(안면도, 제주고산, 울릉도독도, 포항)와 7개 위탁관측소(대학 및 관계기관)
- 기후변화 원인물질: 온실가스, 반응가스, 에어로졸, 성층권오존/자외선, 대기복사, 총대기침적 등
이산화탄소 배경농도 변화
이산화탄소 배경농도 변화 (안면도, 고산, 울릉도, 독도, 전 지구) |
※ 이산화탄소 관측자료 보유 현황 : 안면도(1999~), 고산(2012~), 울릉도(2014~), 독도(2012~) |
⛅ 이산화탄소(CO2) 배경농도 지속적으로 증가, 관측 이래 최대치 경신
- 안면도: 427.6 ppm, 고산: 426.1 ppm, 울릉도 425.6 ppm로 2022년 대비 약 2.6 ppm
⛅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육불화황(SF6)의 배경농도 증가추세 지속
⛅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제한하고 있는 염화불화탄소류(CFCs) 배경농도 지속 감소
온실가스 입체 감시
2018∼2023년(누적 203일) 기상항공기 관측경로 |
이산화탄소(CO2)의 항공관측 농도 평균(고도 3∼8 km)과 안면도, 전지구의 배경농도 비교 |
기상관측선 운항경로(35.3∼37.8˚N, 124.8˚E) |
2021∼2023년 봄철 서해상 이산화탄소(CO2) 선박관측 농도 평균(●)과 안면도 배경농도(●) 비교 |
⛅ 2018년부터 온실가스 항공관측을 시작하였고, 2021년부터는 선박관측으로 확장하여 우리나라 상공과 해상의 온실가스 농도를 관측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상공(고도 3∼8km)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안면도 지상 배경농도보다 1.5%가량 낮은 범위에서 매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에어로졸 광학깊이 및 강수 산성도 연변화
안면도, 고산, 울릉도의 에어로졸 광학깊이(AOD) |
강수 산성도(PH) 연변화 |
⛅ 에어로졸 광학깊이 연변화는 0.22 ~ 0.30를 보였으며, 고산에서는 감소하였음
- 에어로졸 광학깊이: 빛이 산란·흡수되어 제거 되는 양으로, 일반적으로 그 값이 0.1 보다 낮으면 대기가 맑고 1 이상이면 시정이 좋지 않음
⛅ 강수 산성도(pH)는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깨끗한 강수의 산성도 5.6에 가까워 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