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 국가상징 알아보기 ENGLISH

글자크기

 ⛅ 국립기상과학원은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 표지
pdf [바로보기] 2024 지구대기감시 보고서.pdf
pdf [다운로드] 2024 지구대기감시 보고서.pdf

 ⛅ 『2024 지구대기감시 보고서』는 기상청 지구대기감시소*에서 관측한 지구대기감시요소 관측 자료와 분석 결과가 담겨 있으며, 우리나라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 *지구대기감시소: 4개 기본감시소(안면도·고산·울릉도독도 감시소, 포항관측소)와 6개 위탁관측소(대학 및 관계기관)
  • **기후변화 원인물질: 온실가스, 반응가스, 에어로졸, 성층권오존/자외선, 대기복사, 총대기침적 등


한반도 지구대기감시 관측자료 변화

 - 이산화탄소 배경농도 변화 -

 ⛅ 2024년 한반도 이산화탄소(CO2) 배경농도 관측 이래 최대치 경신

  • 안면도: 430.7 ppm(전년 대비 +3.1ppm), 고산: 429.0 ppm(전년 +2.9ppm), 울릉도 428.0 ppm (전년 대비 +2.4ppm)
  • 안면도의 경우, 최근 10년(2015~2024년) 기간 중 두 번째로 큰 연간 증가폭

 ⛅ 2024년 전지구 평균*** 이산화탄소 배경농도는 422.8ppm으로 전년 대비 3.4ppm 상승해 최근 10년 기간 중 가장 큰 연간 증가폭 기록

  • ***전지구 평균: 미국해양대기청(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에서 운영하는 전지구 43개 플라스크 관측지점의 평균값
  • 2023년 이산화탄소 농도의 전년 대비 증가폭: 전지구 평균 2.3ppm, 안면도 2.6ppm, 고산 2.6ppm, 울릉도 2.8ppm
이산화탄소 배경농도 변화 (안면도, 고산, 울릉도, 독도, 전 지구) 그래프
※ 이산화탄소 관측자료 보유 현황 : 안면도(1999~), 고산(2012~), 울릉도(2014~), 독도(2012~)


 - 메탄, 아산화질소, 육불화황 배경농도 변화 -

 ⛅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육불화황(SF6)의 배경농도 증가추세 지속, 이산화탄소와 마찬가지로 3개 지점 모두 최고치 경신

  [ 메탄(CH4) ]

안면도, 고산, 울릉도, 독도와 전지구의 메탄(CH4) 배경농도 그래프

안면도, 고산, 울릉도, 독도와 전지구의 메탄(CH4) 배경농도

  [ 아산화질소(N2O) ]

안면도, 고산, 울릉도와 전지구의 아산화질소(N2O)의 배경농도 그래프

안면도, 고산, 울릉도와 전지구의 아산화질소(N2O)의 배경농도

  [ 육불화황(SF6) ]

안면도, 고산, 울릉도와 전지구의 육불화황(SF6) 배경농도 그래프

안면도, 고산, 울릉도와 전지구의 육불화황(SF6) 배경농도



 - 에어로졸, 대기 중 반응가스, 강수산성도 변화 -

 ⛅ 에어로졸, 대기 중 반응가스와 강수산성도는 대부분 줄고 있음

  [ 에어로졸 총수농도와 입자상 물질(PM10) 변화 ]

안면도, 고산, 울릉도의 에어로졸 총수농도 (0.01∼3.0㎛) 연변화 그래프

안면도, 고산, 울릉도의 에어로졸 총수농도 (0.01∼3.0㎛) 연변화

안면도, 고산, 울릉도의 입자상 물질(PM10) 연변화 그래프

안면도, 고산, 울릉도의 입자상 물질(PM10) 연변화

  [ 강수 산성도(pH) 변화 ]

안면도, 고산, 울릉도의 강수 산성도(pH) 연변화 그래프

안면도, 고산, 울릉도의 강수 산성도(pH) 연변화





기상항공기와 기상관측선의 이산화탄소(CO2) 농도 연변화

 ⛅ 2018년부터 항공관측을 시작하고 2021년부터는 선박 관측으로 확장했으며, 두 자료의 온실가스 농도(이산화탄소, 메탄) 모두 지속적인 증가 추세

2018∼2024년(누적 225일) 기상항공기 관측경로 이산화탄소(CO2)의 항공관측 농도 평균(고도 3∼8 km)과 안면도, 전지구의 배경농도 비교

2018∼2024년(누적 225일) 기상항공기 관측경로

이산화탄소(CO2)의 항공관측 농도 평균(고도 3∼8 km)과 안면도, 전지구의 배경농도 비교

기상관측선 운항경로(35.3∼37.8˚N, 124.8˚E) 2021∼2024년 봄철 서해상 이산화탄소(CO2) 선박관측 농도 평균과 안면도 배경농도 비교 그래프

기상관측선 운항경로(35.3∼37.8˚N, 124.8˚E)

2021∼2024년 봄철 서해상 이산화탄소(CO2) 선박관측 농도 평균과 안면도 배경농도 비교


한반도 지구대기 입체감시망

한반도 지구대기 입체감시망

관련기관 바로가기 링크

기상청 홈페이지 새 창 열림
기상청 날씨누리 새 창 열림
기상청 날씨마루 새 창 열림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새 창 열림
기상자원지도 홈페이지 새 창 열림
국립기상과학원 ARGO홈페이지 새 창 열림
책임운영기관 국립기상과학원 전문성|소통|실용|고객행복

대표메일: nimskma@korea.kr  대표전화: 064-780-6500  팩스: 064-738-9071
(63568)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호북로 33 국립기상과학원
COPYRIGHT ⓒ 201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ALL RIGHTS RESERVED.

/CA/OP/AD/atmosphere.jsp,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