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예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상현상을 적시에 관측·감시할수 있어야 합니다.국립기상과학원에서는 관측공백지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상관측 및 다목적기상항공기 및 모바일 기상관측을
통해서 기상요소를 정확하게 관측할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표준기상관측소를 통해 확보된 관측데이터들은 요청시 연구자료로 제공되어집니다.
·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 연구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 기술개발 및 활용 연구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 개발연구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 연구
보성에 위치한 종합기상탑은 높이 307M로 대기경계층에 대한 연직기상관측을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기상관측탑입니다. 이를 통해 얻은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국립기상과학원에서는 중규모 위험기상 현상에 대한 감시·분석 관측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할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 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관측연구부 (김기훈)
재해기상 목표관측·분석·예측 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
국립기상과학원은 기상관측차량‧기상드론을 활용하여 호우, 대설, 강풍, 도로살얼음 등 재해기상에 대해 집중적으로 관측·분석하기 위해 “재해기상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재해기상 현상의 목표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기상청 예보·방재업무 현업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개념모델 및 예보가이던스 개발, 예특보 체계 개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재해기상 목표관측·분석·활용기술 개발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예보연구부 (임병환)
· 기상 예·특보 업무의 검증 및 평가체계 개선 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예보연구부 (김정은)
![]() |
![]() 대도시 기상특보구역 세분화 |
|
![]() 목표관측 |
![]() 도로살얼음 예측정보 시범서비스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 개발연구
국립기상과학원에서는 다목적 기상항공기 운영을 통한 기상현상별 항공관측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상항공기를 활용하여 위험기상 선행관측, 환경기상 감시, 온실가스 감시, 구름물리·기상조절 관측기법 개발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위험기상 선행관측 및 관측전략 기반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관측연구부 (구태영)
· 구름물리 및 인공증우(설) 항공관측 기반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기상응용연구부 (장기호)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영향 분석 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지구대기감시연구과 (김수민)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지구대기감시연구과 (김수민)
![제원 및 성능
- 도입일: 2017.11.08.
- 등록기호: HL5240
[주요 제원과 성능]
기종: Beechcraft King Air 350HW
형식: 쌍발 터보프롭(Twin Turboprop)
높이/길이/폭 4.37m / 14.22m / 17.65m
최대 비행가능고도: 32,000ft(∼10km)
최대 임무비행시간: 5.5시간
탑승자: 총 5명(조종사 2명, 장비운용자 2명, 연구자 1명)
- 별칭: 나라호(NARA) * KMA/NIMS Atmospheric Research Aircraft * 의미: 나라(날아) 발음으로 국가기관 항공기가 하늘 높이 비상함을 상징
[기상항공기에 탑재·장착된 관측장비]
[1] 내부(앞) 온실가스(CRDS), 질소산화물(NOX Analyzer), 오존(O₃Analyzer)
[2] 내부(가운데) 에어로졸 수농도(OPC), 블랙카본(SP2), 에어로졸 흡수계수(TAP), 황산화물(SO₂
Analyzer), 에어로졸 산란계수(Nephel), 공중방사선(RSX-3)
[3] 내부(뒤) 연직기상요소(드롭존데), 구름응결핵(CCN-200)
[4] 외부(우측 날개) 강수입자(PIP), 구름입자(CCP), 불꽃형 연소탄 점화장치(BIP), 액체·고체
수함량(WCM), 기온(TTS)
[5] 외부(하단) 해상풍(SFMR), 영상(Camera), 투하형 연소탄 점화장치(EFR)
[6] 외부(좌측 날개) 상층수증기량(GVR), 기본기상요소(AIMMS), 불꽃형 연소탄 점화장치(BIP),
구름·강수(KPR)](/Data/images/research_area/240627/연구사업_기상항공기_제원_및_성능_800x4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