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기상과학원에서는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정보를 지원하고 기상청 장기예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준비 및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분석, 첨단 관측 장비를 이용한 온실가스 감시, 기후예측 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 (AR6)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연구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연구
새로운 기후체계에서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을 위해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에 활용될 새로운 시나리오 자료 및 분석 도구를 연구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전 세계 연구기관에 제공하여 IPCC(기후변화에관한 정부간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nel on Climate Change) 6차보고서 활동에 기여함으로써 기후변화 연구에 대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여줍니다.· 전지구 및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미래기반연구부 (변영화)

< 서해상 대기질 입체관측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연구
국립기상과학원에서는 다목적 기상항공기를 이용하여 대기상층을 통해 우리나라로 유입하는 물질의 특성을 조사하고 서해상의 공기질을 감시합니다.또한, 이 관측결과를 통해 서해상의 공기질 특성을 분석하고, 오염의 기원을 추정하며, 궁극적으로는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를 합니다.·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장기변화 특성 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미래기반연구부 (박영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