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ENGLISH

글자크기

국립기상과학원에서는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정보를 지원하고 기상청 장기예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준비 및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분석, 첨단 관측 장비를 이용한 온실가스 감시, 기후예측 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 (AR6)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연구
  ·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개선 연구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연구

새로운 기후체계에서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을 위해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에 활용될 새로운 시나리오 자료 및 분석 도구를 연구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전 세계 연구기관에 제공하여 IPCC(기후변화에관한 정부간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nel on Climate Change) 6차보고서 활동에 기여함으로써 기후변화 연구에 대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여줍니다.
· 전지구 및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기후변화예측연구팀 (정주용)

시나리오 모델 안내. 기후모델 성능 진단평가를 통해 지구시스템모델을 구축. 모델을 통한 기후실험(CMIP6) 수행결과로 모델수행 모니터링시스템과 기후모델자료 DB를 구축하여 정부, 연구기관, 대학등 국내 사용자에 제공 뿐만 아니라 국제표준형식 자료를 작성하여 WCRP/CMIP6 국제공동 자료로 활용합니다.
우리나라 기후변화감시망(한반도 지도)
< 우리나라 기후변화감시망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연구

세계기상기구(WMO)에서는 전지구대기감시(GAW) 관측망을 통해 기후변화원인물질의 장기관측 변동을 연구 중에 있으며, 한반도에서는 안면도, 제주고산, 울릉도독도, 독도무인감시소에서 6대 대표물질(온실가스, 에어로졸, 반응가스, 성층권오존, 자외선, 총대기침적)을 1999년부터 측정해오고 있으며, 한반도에서 가장 긴 관측자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2년부터 WMO의 육불화황(SF6) 세계표준센터로 지정되어 전세계 GAW 관측소들에게 온실가스 관측기술을 전파 및 교육하고 있습니다.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지구대기감시연구과 (김수민)

서해상 대기질 감시 캠페인(한반도 지도)
< 서해상 대기질 감시 캠페인 >

황사∙연무 감시 연구

최근 황사와 더불어 연무에 의한 심각한 대기오염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황사와 연무 모두 장거리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현재 관측 공백 지역인 서해상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불가피 합니다. 또한 에어로졸은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국지적 오염원 뿐만 아니라, 중국 등 산업단지의 대기오염물질 등과 더불어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서 국립기상과학원은 황사·연무의 발원 및 이동에 대한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정확한 관측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황사∙연무 감시 연구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지구대기감시연구과 (김수민)

기후변화 입체 감시 기술 개발

기후변화의 원인물질의 장기변동성과 한반도 특성 분석 연구를 위하여 지표, 항공, 선박, 고층타워등의 입체감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상모델링과 입체감시자료의 결합을 통해 기후변화원인물질의 기원을 분석하고, 이를 기후변화정책 및 외교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기후변화 입체 감시 기술 개발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지구대기감시연구과 (김수민)

기후변화입체감시 및 기원추적시스템의 개요 - Observation(Surface Air-born, Vessel, Tall-Tower, FTS) Integrated observation data-> Product, Model Suface emssion Inventory-> Product[High quality data]
< 기후변화입체감시 및 기원추적시스템의 개요 >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개선 연구

기상청 장기예보를 지원하기 위해 2주~6개월 예측규모의 기후예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후예측시스템은 관측 자료동화를 통한 초기장 생산, 기후예측모델을 통한 앙상블 생성, 예측성의 진단 평가, 오차 보정과 후처리 그리고 자료 서비스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후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기후예측 현업시스템 운영 및 개발
  -  연구부서 (담당 연구관): 기후연구부 (이조한)

기후예측모델(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기후예측시스템 프로세스: 자료동화->관측->초기조건->기후변화예측모델링->온도보정->예측성진단평가(->관측)또는 후처리->서비스

관련기관 바로가기 링크

기상청 홈페이지 새 창 열림
기상청 날씨누리 새 창 열림
기상청 날씨마루 새 창 열림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새 창 열림
풍력 태양광 기상자원 홈페이지 새 창 열림
국립기상과학원 ARGO홈페이지 새 창 열림
/CA/OP/SJ/con_03.jsp,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