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사감시기상탑 현지점검(2013. 7. 15. ~ 23.) +상세보기 이동
- 제15차 「한․중․일 환경부장관회의(TEMM)」 환경상 시상식 참석(2013. 5. 5. ~ 6.) +상세보기 이동
- 제3차 CORDEX-동아시아 국제 워크숍(2014. 08. 11.~12.) +상세보기 이동
- 국립기상연구소-부경대학교 기후연구 공동워크숍(2014. 07. 03.~04.) +상세보기 이동
- 한국기후변화학회 2014년 상반기 학술대회 국립기상연구소 특별세션 및 홍보부스 운영(2014. 06. 20.) +상세보기 이동
-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발간 대응 심포지엄(2013. 11. 28) +상세보기 이동
- 제8차 기후연구 공동 워크숍(2013. 09. 05.~06.) +상세보기 이동
- 제12차 국제통계기후회의(2013. 06. 24.~28.) +상세보기 이동
- 2014 전지구 해양환경 감시를 위한 ARGO 플로트 투하(2014. 07. 15~08. 02) +상세보기 이동
- 2014 신규 투하 ARGO 플로트 교육(2014. 06. 17) +상세보기 이동
황사감시기상탑 현지점검(2013. 7. 15. ~ 23.)
장소 : 중국, 몽골
점검자: 대기환경모델링센터, 몽골수문기상연구소, 몽골 달란자드가드 지방기상청, 북경대학교, 황사연구과 등 7명
내용: 황사발원지 기상특성 파악과 황사농도 단기예측모델 개선을 위해 활용 중인 황사감시기상탑 관측 자료의 안정적 수신을 위해 현지 점검함.
제15차 「한․중․일 환경부장관회의(TEMM)」 환경상 시상식 참석(2013. 5. 5. ~ 6.)
장소 : 일본 기타큐우슈우
수상자: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전영신 과장
내용: 동북아 환경문제를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한 한·중·일 환경부장관 회의에서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전영신 과장이 환경상을 수상함.
제3차 CORDEX-동아시아 국제 워크숍(2014. 08. 11.~12.)
장소 : 국립기상연구소 한라관
참석자: 중국, 일본 등 국외전문가 18인 등 약 55인
목적: 동아시아 지역의 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을 위한 기술정보 교환 및 기상청 기후연구의 국제적 위상 제고
국립기상연구소-부경대학교 기후연구 공동워크숍(2014. 07. 03.~04.)
장소 : 국립기상연구소 올레관
주최: 국립기상연구소/부경대 환경해양대학 환경대기과학과 지구기후시스템모델링연구실
참석자 : 국립기상연구소장, 오재호교수 등 27명
내용: 기후변화 연구에서 중요한 기후, 해양 부문의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국립기상연구소-부경대학교 기후연구 공동워크샵을 개최
한국기후변화학회 2014년 상반기 학술대회 국립기상연구소 특별세션 및 홍보부스 운영(2014. 06. 20.)
장소 : 세종대학교 광개토관 102호
참석자 : 총 53명 - 패널토론자 : 정일원(APEC기후센터), 김백민(극지연구소) 등 기후변학화학회 회원 등
주제: 국립기상연구소 지구시스템 모델 개발과 기여 특별세션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발간 대응 심포지엄(2013. 11. 28)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
추진배경 및 목적: IPCC 제5차 평가보고서의 주요 결과의 공유와 기후변화 공동 대응 능력 강화
제8차 기후연구 공동 워크숍(2013. 09. 05.~06.)
장소 : APEC 기후센터
참가자/발표논문: 51명/18편(국립기상연구소 7편, APEC 기후센터 2편, 해양과학기술원 9편)
목적 : 기후변화 연구에서 중요한 기후, 해양 부문의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국공립연구기관 사이의 기후관련 연구 결과의 상호 교류
내용: 기후 관련 연구 현황 및 국제동양 소개, 기후변화 예측 모델 연구, 기후시스템 감시 및 모니터링,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시스템 변화 연구, 대기, 해양 연구 활성화 및 기관 간 연구 협력 방안 논의
제12차 국제통계기후회의(2013. 06. 24.~28.)
장소 : 제주 국제컨벤션센터
참석자 : 국내외 20여 개국 대기과학 및 통계과학 관련 전문가 201명
발표편수: 20여 개국 201명 참석(국내 92명, 국외 109명) / 176편(구두 129편, 포스터 47편)
목적: 국제학술회의를 국내에 개최함으로써 국내 대기과학의 국제적 위상 증진, 선진 통계기후 연구 결과 및 기술 습득, 대기과학과 통계과학 분야의 유기적인 협력과 융합 연구 활성화에 기여